Full text search for "xe"

EDRSPIHCRSSRSS

La TeXWorkshop


Search BackLinks only
Display context of search results
Case-sensitive searching
  • 설치하기Windows/tlinstall . . . . 22 matches
          * 일반적인 상황은 아니나, 일부 Windows에서 `C:\Windows\System32` 폴더가 PATH 변수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설치 프로그램이 `cmd.exe`를 부르기 때문에 이 폴더가 PATH에 포함되어 있을 것이 필수적이다. 만약 설치 후에 fmt를 만드는 데 실패한다면 십중팔구 이 문제일 것이므로 확인이 필요하다.
          * 영미권에서 만들어진 많은 프로그램들은 알파벳이외의 글자에 대해서 오작동을 하는 경우를 종종 만난다. 그러므로 컴퓨터에서는 영어만 사용한다고 생각하고 쓰는 편이 좋다. 또한 사용자 이름도 철수, 영희 보다 Cheolsu, Yeonghui로 입력하는 편이 좋다. 그렇지 않은 경우,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42049|질문게시판의 242049번 글] 과 같은 경우를 만날 수 있다. [https://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all/%ec%9c%88%eb%8f%84%ec%9a%b010/16602844-2334-4195-975d-d968ae129e4c|윈도우10 사용자 이름 바꾸는 방법 ]의 방법으로 사용자 이름을 바꿀 수도 있으나, 항상 잘된다고는 보장하기 어렵다.
          * 한글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TeX Live를 설치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설치 자체는 TEMP 환경 변수를 일시적으로 변경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52433&mid=KTUG_QnA_board | KTUG Q&A] 게시물 참조.
          2. 사용자 권한으로 설치한 폰트를 XeLaTeX에서 사용할 수 없다.
          * 설치 프로그램 파일 [http://mirror.navercorp.com/CTAN/systems/texlive/tlnet/install-tl-windows.exe install-tl-windows.exe]를 다운로드받는다.
         install-tl-windows.exe --repository http://mirror.kakao.com/CTAN/systems/texlive/tlnet
          * 텍라이브 매니저 자체가 업데이트 되지 않아 업데이트가 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http://ftp.ktug.org/tex-archive/systems/texlive/tlnet|이 링크]에서 update-tlmgr-latest.exe 파일을 받아 실행 후 업데이트를 다시 시도한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91705|(참고링크, KTUG게시판 191705글)]
          * [http://www.ktug.org/xe/194549 perl.exe 에러]
          * [http://www.ktug.org/xe/192172 Can't spawn "cmd.exe"]
          * [http://www.ktug.org/xe/191679 biber.win32 설치중 중단]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26539 패키지 다운로드 중 설치가 멈추는 경우]
          * 한글 문서를 XeLaTeX으로 컴파일 시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설치 후 [wiki:설치하기Windows/tlinstall ko.TeXLive 설정] 부분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한글 문서를 XeLaTeX으로 컴파일 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wiki:설치하기Windows/tlinstall ko.TeXLive 설정]을 참고하여 nanumttf를 설치하여 해결할 수 있다.
          * `Locale 'Korean_Korea.949' is unsupported` 메시지가 나오면서 설치가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보고되었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68453&mid=KTUG_QnA_board|KTUG 게시판 268453] 이 문제는 시스템에 이미 다른 Perl이 설치되어 있고 그 Perl이 Locale을 설정해두었는데 TeXLive 설치 스크립트가 이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로 보인다. 다음과 같이 설치를 시도한다.
          * install-tl-windows.exe를 다운로드받은 폴더에서 명령 프롬프트(cmd)를 연다. (powershell이 아님에 유의)
          * 이 방법에 대해서는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2768|KTUG게시판]의 관련 글을 참고하라.
         === exe 대신 설치 압축파일을 이용하는 방법 ===
          * 위의 설치 exe는 압축을 풀고 install-tl-windows.bat라는 배치파일을 실행하는 일을 하는 파일이다. 이 과정을 수동으로 할 수 있다.
          * 커맨드창 실행 시 GUI가 안 뜨고 바로 goodbye로 꺼지는 경우(오류메시지: cmd.exe를 찾을 수 없다고 함)가 있는데, 윈도우 환경에서 시스템 속성 > 환경 변수의 시스템 변수 'Path'에 C:\Windows\system32; 를 추가하면 된다.
          * [http://mirror.navercorp.com/CTAN/systems/texlive/tlnet/update-tlmgr-latest.exe |update-tlmgr-latest.exe]를 다운로드 받는다.
  • PDFManipulation . . . . 20 matches
          \xetex_if_engine:T
          \int_gset:Nn \g_tmpa_int { \xetex_pdfpagecount:D "#1" }
         === ConTeXt의 texexec를 사용하는 방법 ===
         한 페이지만 추출하려면 `texexec --pdfselect` 방법을 쓴다. `orig.pdf`의 1페이지만을 `test1.pdf`로 쓰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 texexec --pdfselect --selection=1 --batch --result=test1.pdf orig.pdf
          system("texexec --pdfselect --selection=$_ --batch --result=test$_.pdf orig.pdf");
         위의 `texexec`로 한 페이지만 추출하는 것을 Shell Script로 만든 것.(Claus Gerhardt 씨)
         texexec --pdfselect --batch --silent --selection="$1" --result="${file}-ext.pdf" "${file}.pdf" \
         && rm -f "${file}-ext.tui" && rm -f "${file}-ext.tmp" && rm -f "texexec.tex" \
         && rm -f "texexec.tmp" && rm -f "texexec.tui" && rm -f "mprun.mp" rm -f "mpgraph.mp" \
  • TnXTeX . . . . 20 matches
          * [http://ftp.ktug.org/KTUG/TnXTeX/tnxtex-1.4.5.exe tnxtex-1.4.5 (180M) ]
          * [http://ftp.ktug.org/KTUG/TnXTeX/tnxtex-1.4.4.exe tnxtex-1.4.4 (160M) ]
          * 1.4.4 : xetex/luatex binaries update
          * 1.4.3-4 : minor fixes
          * 1.4.3-3 : luaotftool-blacklist.cnf, texmf.cnf (for user), xdvipdfmx/xetex binaries, hcr-lvt...
          * 1.4.3-2 : minor fixes.
          * pstricks [http://ftp.ktug.org/KTUG/TnXTeX/tnxtex-all-pstricks.exe tnxtex-all-pstricks.exe (25M)]
          * TnXTeX의 pstricks는 dvips 없이 xelatex으로만 실행됩니다. lualatex은 원래 pstricks를 처리하지 못합니다. 그래도 pstricks가 불가결하신 분만 추가로 설치하십시오.
          * texmaker [http://ftp.ktug.org/KTUG/TnXTeX/tnxtex-all-texmaker.exe tnxtex-all-texmaker.exe ]
          * TeXworks 한글 사용 환경 (spellchecker, templates, XeLaTeX-shell command, ...)
          * 압축을 푼 폴더의 tnxtex14.exe를 더블 클릭하여 TnXTeX 세션을 시작하십시오.
          * LuaLaTeX의 최초 실행시 폰트 캐시를 만드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TnXTeX은 실행시에 xelatex을 위한 폰트 캐시 작업만 하고 lualatex을 위해서는 캐시를 만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 TnXTeX 현재 버전의 xetex은 한글 파일 이름이 가능한 대신 "한글 이름의 폰트 파일"에서 에러를 보일 수 있습니다. 한글 이름으로 된 폰트(예를 들면 "나눔고딕코딩.ttf")를 사용해야 한다면 TnXTeXLive/texmf.cnf 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이 utf8 설정된 부분을 주석처리하십시오. 이 경우 한글 파일 이름을 쓸 수 없습니다.
         === myTinyXeTeX ===
         https://www.google.co.kr/search?q=myTinyXeTeX
          * download [http://ftp.ktug.org/KTUG/TnXTeX/archive/tnxtex-dvd-1.4.4-update.exe tnxtex-dvd-1.4.4-update.exe ]
          * execute downloaded .exe file to the same folder
          * [http://ftp.ktug.org/KTUG/TnXTeX/archive/tnxtex-esse-1.4.4.exe tnxtex-esse-1.4.4.exe (94M) ]
  • 설치하기/TinyTeX . . . . 15 matches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QnA_board&document_srl=255581
         dvi 출력하는 LaTeX, pdf 출력하는 pdfLaTeX은 물론이고 XeLaTeX, LuaTeX도 기본설치는 되어있습니다. LiveTeX 기반으로
         사실 설치랄 것도 없는 portable입니다. 다운받고 압축 풀면 TinyTeX이란 폴더가 생기는데 그안의 tl-tray-menu.exe 실행하면
         별도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tinitex은 windows의 경우 `tinitex.exe`라는 실행파일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 압축을 풀어서 `tinitex.exe`를 PATH에 포함된 폴더에 가져다둔다. (예: TinyTeX/texlive/bin/win32/)
         # tinitex --pdf-engine xelatex filename.tex
          * 또한 xelatex으로 kotex을 사용하는 경우에 다음 폰트를 미리 설치해두는 것이 좋다. {{{
         === XeLaTeX과 폰트 ===
          * XeLaTeX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서 font config 설정을 수정해야 한다. texmf-var\fonts\config에 있는 `fonts.conf` 파일의 내용을 자신에게 맞게 고쳐야 하는데, 이것이 매우 귀찮고 portable로 사용하려 할 적에 새로운 기계에서 매번 수정해야 하는 것은 부담이 되므로 한방에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배치파일을 작성하였다. 첨부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반드시'' 압축을 풀어서 두 개의 파일을 동일한 디렉터리에 두고, `tinytexfontconfig.bat`를 실행하라. 이 동작은 TinyTeX이 활성화된 환경, 즉 (별도로 PATH를 설정하지 않았다면) 트레이로부터 연 명령행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 tinitex 유틸리티 활용: TinyTeX-0을 이용한 XeLaTeX 전용 작은텍 만들기 ===
          배포판 중 제일 작은 TinyTeX-0을 이용하면 아주 작지만 쓰기에 부족함이 없는 XeLaTeX 전용 텍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데, 손작업이라면 고된 삽질이지만, 위에 나와있는 tinitex 유틸리티를 쓰면 한시간도 안걸려서 자신만의 전용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1. 이상의 준비물은 다 TinyTeX 폴더에 두고서 tl-tray-menu.exe를 구동한다.
          1. XeLaTeX을 먼저 설치한다.
          {{{tlmgr install xetex}}}
          {{{tinitex --pdf-engine xelatex (준비한 한글문서 file name)}}}
          {{{tinitex --pdf-engine xelatex revtex-template}}}
         === 예제: pdflatex 문서를 xelatex 문서로 바꾸기 ===
          1. 첨부한 파일꾸러미는 RevTeX aps sample이며 이 문서는 LaTeX으로 처리해서 dvi 파일을 만들기 위한 문서이다. 그림파일을 불러오는 \includegraphics{파일명)에서 파일명의 .eps를 생략해도 LaTeX이 알아서 잘 처리한다. XeLaTeX으로 처리할려면 파일명의 .eps를 생략할 수 없다. 그림을 pdf 파일로 바꿔주지 않아도 xelatex이 잘 처리한다. attachment:amssamp.zip
          1. xelatex 문서를 다시 pdflatex 문서로 바꾸려면 위의 다섯줄을 comment 처리하고 bm 패키지를 쓴다면 살려놓는다. pdflatex은 eps 그림을 자동으로 pdf 그림으로 바꿔 준다. (그림파일명에 .eps 있어야 하고, epstopdf-pkg 패키지가 있어야 함-이것도 tinitex으로 설치할 수있지만 이 글을 읽는 이의 연습문제로 남겨둡니다.. ^_^)
          {{{ tinitex --pdf-engine xelatex apssamp-x }}}
  • xetex-ko . . . . 14 matches
          * xetex-ko는 XeTeX 엔진을 위한 한국어 식자 및 조판 패키지로 [ko.TeX]의 일부이다.
          * xetex-ko의 개발자는 김도현이며, 2014년 현재 최신판은 2.9이다.
          * xetex-ko는 [http://ftp.ktug.org/tex-archive/macros/xetex/generic/xetexko/ CTAN]을 통해 배포된다.
          * TeX Liv에 xetex-ko가 포함되어, 다음와 명령으로 설치할 수 있다.{{{#!bash
         # sudo tlmgr install xetexko
         \usepackage{xetexko}
         \xetexkofontregime{인자}[key=value]
         \xetexkofontregime{latin}[puncts=prevfont, colons=prevfont, cjksymbols=hangul]
          * 간격 조정, 옛한글 사용 등에 관해서는 [http://ftp.ktug.org/tex-archive/macros/xetex/generic/xetexko/xetexko-doc.pdf 설명서]를 참고하라.
          * [https://github.com/dohyunkim/xetexko github 저장소]에서 개발상황을 살펴보거나 버그 및 개선점을 제출할 수 있다.
  • jiwonlipsum . . . . 13 matches
         \ifLuaOrXeTeX
         \begin{boxedverbatim}
         \end{boxedverbatim}
         \begin{boxedverbatim}
         \end{boxedverbatim}
         \begin{boxedverbatim}
         \end{boxedverbatim}
         \begin{boxedverbatim}
         \end{boxedverbatim}
         \begin{boxedverbatim}
         \end{boxedverbatim}
         \begin{boxedverbatim}
         \end{boxedverbatim}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5366 간단한 소개와 사용법]
  • DocumentGalley . . . . 12 matches
          * '''단행본 샘플'''. oblivoir. xelatex.
          * oblivoir, xelatex/lualatex.
          * 제 경우도 쓰던 문제 양식이 있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 올리는 것을 망설였는데, 혹시 취향에 맞을까 해서 올려보겠습니다. `\documentclass{book}`으로 짠 것입니다.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0676 | KTUG 게시판]]
          * memoir, XeLaTeX
          * (XeLaTeX으로) 조판하기 위해서는 mtpro2, Times New Roman, Optima 폰트가 필요하다. (그리피스의 기초전자기학에 쓰인 폰트이다.) 원서의 모양과는 달라지겠지만 원한다면 아래 소스에서 다른 폰트로 대체해도 된다.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search_keyword=WinLaTeX&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252798|WinLaTeX]의 사용설명서(1994) 제9장 "수식 쓰는 방법"을 '''재현'''
          * report 클래스, xelatex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6707 History of KTUG] longtable 예제 attachment:history_of_ktug.zip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0958|tabularray_test_20221120],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search_keyword=tabularray_test&search_target=comment&document_srl=255649 tabularray_test] 다양한 한글문서식 table 예제 attachment:tabularray_test_20221120.zip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search_keyword=tabularray+&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256943 tabularray 예제] 정부 보고서 형식 만들기 attachment:tabularray_example.zip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3136|김퍼프, new pytagorean theorem proof]에 붙인 답글, [tzplot].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3233|KTUG:263233 영어 문제집 졸작]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6279|KTUG:266279 상장 템플릿]
  • MiKTeXDockerized . . . . 11 matches
         === execute without container ===
          * executing container {{{
         docker exec -ti mymiktex /bin/bash
          * ```/bin/bash``` 대신 컴파일 명령을 줄 수 있다. ex) ```docker exec -ti mymiktex xelatex --shell-escape --synctex=1 mytex.tex```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5839|소개글]
          * Workflow 자동화 프로그램은 latexmk, spix, cluttex, texify 등이 있다. arara는 jre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용량문제로) 사용할 수 없다. cluttex의 경우 clxelatex과 같은 단축 명령은 제공하지 않는다. `cluttex -e xelatex`과 같이 사용하여야 한다. latexmk 또는 spix를 권장함.
          3. 컴파일 명령으로 실행 (xelatex) {{{
         $ docker -v miktex:/miktex/.miktex -v $(pwd):/miktex/work novadehi/miktexwktug xelatex <filename>.tex
          * GUI 없이 컴파일러로만 사용하는 경우 현재 폴더를 -v 옵션으로 지정하는 귀찮은 문제를 간단히 하는 배치파일이 작성되어 있다. 위의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5839|소개글]에 딸린 댓글의 첨부파일 참조.
  • KC2008PlusPlus . . . . 10 matches
          * 매번 Ctrl-S하기 귀찮으면 플러그인 -> NppExec -> Save all files on execute를 체크해둔다.
          1. Shift-F6을 눌러서 NppExec Execute 창을 연다.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4986 이전 NPP에서 조사 명령이 깨지던 현상] 없어짐
          * Progress: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9547&mid=KTUG_open_board&act=dispBoardReplyComment&comment_srl=189595 단축키 재할당]
          * likesam: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9547&mid=KTUG_open_board&act=dispBoardReplyComment&comment_srl=189601 XeLaTeX 루트를 F5, F6...으로]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9547 게시판189547번글]에서 0.1alpha에 관한 대화를 하고 있습니다.
          * mcpark: "최근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9655 사소한 문제]] 때문에 새 버전으로 설치했습니다. 귀찮아서 이제까지 kotexlive2012 쓰고 있었는데 이참에 최신 버전으로 설치도 하고요. 컴파일 속도가 더 빨라진 것 같이 느껴지는건 기분탓이겠죠? ^^;;"
          * kangbada : notepad++을 새로 설치하고 KCmenu.dll 설정 방법에 대해서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38117 238117번글]]로 문의합니다. -- 2019-10-03
  • LaTeXWorkflow . . . . 9 matches
          * xelatex {{{#!bash
         # latexmk -xelatex foo}}}
         # latexmk -xelatex -latexoption="-synctex=1" foo}}}
          * TeXworks에 xelatexmk 추가 (Windows라면 프로그램 위치를 {{{C:\usr\texlive\2014\bin\win32\latexmk.exe}}}로 한다.)
          * attachment:xelatexmkadd.png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45475 |간략한 소개]
         %$ xelatex $texname
         % latex = "xelatex"
  • Windows에서설치와설정2014 . . . . 9 matches
          * 커맨드창 실행 시 GUI가 안 뜨고 바로 goodbye로 꺼지는 경우(오류메시지: cmd.exe를 찾을 수 없다고 함)가 있는데, 윈도우 환경에서 시스템 속성 > 환경 변수의 시스템 변수 'Path'에 C:\Windows\system32; 를 추가하면 된다.
          * Directory Setup 부분의 TEXDIR가 c:\texlive\2014로 되어 있는 것을 c:\usr\texlive\2014로 고친다.[* 설정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c드라이브 아래에 수동으로 usr 폴더를 만들어 놓고 시도한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91808|(참고링크)]]][* 이것은 ko.TeX Live의 권장사항이다. 실제로는 어디에나 설치해도 상관없음.]
          * 텍라이브 매니저 자체가 업데이트 되지 않아 업데이트가 잘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http://ftp.ktug.org/tex-archive/systems/texlive/tlnet|이 링크]]에서 update-tlmgr-latest.exe 파일을 받아 실행 후 업데이트를 다시 시도한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91705|(참고링크)]]
          * [http://www.ktug.org/xe/194549|perl.exe 에러]
          * [http://www.ktug.org/xe/192172|Can't spawn "cmd.exe"]
          * [http://www.ktug.org/xe/191679|biber.win32 설치중 중단]
  • LyX . . . . 8 matches
         XeTeX 또는 LuaTeX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면 한글 문서를 잘 작성할 수 있다.
          * 이 문서를 `File -> Export -> PDF (XeTeX)` 하면 얻어지는 pdf: attachment:sample-oblivoir0.pdf
          2. `pdf4`는 XeTeX, `pdf5`는 LuaTeX을 이용하는 출력이다. 이 옵션에 xetex이나 luatex을 주면 lyx을 tex으로 변환할 수 있다.
          3. 윈도우즈에서는 LyX이 설치된 폴더의 `lyx.exe`, Mac의 경우는 `/Applications/LyX.app/Contents/MacOS/lyx`을 실행하여야 한다.
          1. LyX이 설치된 폴더의 bin\ 디렉토리 아래에 다음 내용으로 된 lyxeditor.cmd 파일을 생성한다. {{{
         InverseSearchCmdLine = lyxeditor.cmd "%f" %l
         EnableTeXEnhancements = true
          * `Tools -> Preferences -> Path`의`Path prefix`에서 SumatraPDF.exe가 있는 PATH를 지정해준다. SumatraPDF를 사용자 설정으로 설치했다면 `C:\Users\<User>\AppData\Local\SumatraPDF`이고 전체 사용자 설정으로 설치했다면 `C:\Program Files\SumatraPDF` 또는 (32비트일 경우) `C:\Program Files (X86)\SumatraPDF`일 수 있으므로 확인하여야 한다. 이 경로를 기존에 이미 있는 prefix의 뒤에 세미콜론을 붙인 다음에 이어 적는다.
          * `LaTeX (XeTeX)`과 `LaTeX (LuaTeX)`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컴파일러 이름을 바꾸어서) 똑같이 설정한다.
          * 다시 `Tools -> Preferences -> File Handling -> File Formats`로 가서 `PDF (pdflatex)`과 `PDF (xetex)`, `PDF (luatex)`에 대하여 Viewer를 Custom으로 하고 필드에 `SumatraPDF`라고 써넣는다.
         위의 항목에서 설명한 kotex 문서 작성은 xelatex/lualatex을 위한 것이다. kotex-utf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1. CJK 패키지가 자동으로 로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Document -> Settings -> Language -> Encodings`를 `Other: Unicode (XeTeX) (utf8)`로 선택하는 트릭이 있다. 비록 XeTeX을 사용할 것은 아니지만 일단 이렇게 하면 한글에 대하여 CJK 패키지가 로드되지 않는다.
         단, 이 방법으로 할 적에는 inputenc 패키지가 로드되는 것은 막을 수 없다.[[Footnote(inputenc는 kotex-utf의 경우에는 미리 로드되어도(옵션이 utf8이기만 하면) 아무 문제 없지만 이렇게 생성된 파일을 바로 xelatex으로 컴파일할 수 없다. kotex 문서에서는 inputenc를 별도로 로드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좋다.)]]
          1. `Document -> Settings -> Language`에서 언어는 English로, `Encoding`은 앞서와 같이 `Unicode (XeTeX) (utf8)`을 선택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아서 XeTeX이나 LuaTeX을 이용하는 앞서 소개한 방법이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 KTUGSeminar/코딩의즐거움 . . . . 7 matches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5186&mid=KTUG_open_board 스터디 공지]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7243&mid=KTUG_open_board 과제 제시]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8182&mid=KTUG_open_board 한글의 분해와 조립]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08446 전자법]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8717&mid=KTUG_open_board 마지막]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08846 패키지를 만듭시다]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9202&mid=KTUG_open_board Simplified Hangulize]
  • TeXShop . . . . 7 matches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35888&mid=KTUG_open_board#comment_235948 (스크린샷에 사용한 소스는 여기서)]
          * xelatex을 많이 쓴다면 ```기타 명령으로 지정```을 선택하고 ```XeLaTeX```을 적어두면 된다.
          * '''대체 컴파일 단축키''' ```Ctrl-Opt-Cmd-T```를 누르면 대체 엔진이 동작한다. 대체 엔진의 설정은 {{{환경 설정 -> 세목 -> 대체 엔진}}}에서 지정할 수 있다. 만약 xelatexmk를 설정하려 한다면 xelatexmk.engine 파일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SpiX 엔진 설치는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45475&mid=KTUG_open_board SpiX 소개] 참조.
         % arara: xelatex: { synctex: yes }
         %$ xelatex -synctex=1 $texname
  • Visual Studio Code . . . . 7 matches
          * pdflatex 대신 xelatex을 컴파일 엔진으로 변경하기를 원한다.
          * 상기 내용은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61754|KTUG 261754번 게시물]]를 참조하라.
          * 한/글 사용자를 위한 단축키는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62050|KTUG 262050번 게시물]]을 참조하라.
          * SumatraPDF가 ```C:/Users/<USERNAME>/AppData/Local/SumatraPDF/SumatraPDF.exe```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자(winget으로 설치하면 이 위치가 된다).
          "latex-workshop.view.pdf.external.synctex.command": "C:/Users/<USERNAME>/AppData/Local/SumatraPDF/SumatraPDF.exe",
          "latex-workshop.view.pdf.external.viewer.command": "C:/Users/<USERNAME>/AppData/Local/SumatraPDF/SumatraPDF.exe",
          * 초간단 VS Code 입문서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61854
  • SampleDocument . . . . 6 matches
         #keywords gromov,oblivoir,sample,tex,xelatex,단행본,샘플,소스
          * 컴파일 조건: pdflatex, xelatex, lualatex
          * xelatex으로 컴파일한 결과: attachment:main-xe.pdf
          * XeTeX/LuaTeX으로 컴파일 가능하게 하고 (무궁화) 그림을 자동으로 다운로드받게한 버전 (`-shell-escape`)
          * ["ko.TeX"]-[oblivoir] 2.0 용으로 변환한 소스. (pdflatex, xelatex으로 컴파일 가능)
          * attachment:intro-stat-xe.pdf (XeLaTeX으로 컴파일한 결과)
  • TectonicTypesetting . . . . 6 matches
          * *Tectonic* is a modernized, complete, self-contained TeX/LaTeX engine, powered by XeTeX and TeXLive.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3773|ksminitex과 tectonic]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37649|tectonic 잠깐 사용 후기 (2019)]]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6681|ksminitex (2021)]] tectonic 실사용 환경을 만드는 설치 프로그램 (비공식).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3773|tectonic과 ksminitex (2023)]]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6438|"콩조이팥조이"] (2021)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9193|"만세전"] 이 글타래의 대화에서 관련 파일의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2024년 5월 현재
  • 참고문헌 . . . . 6 matches
          1. .tex 파일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컴파일 : (pdf,xe)latex -> bibtex -> (pdf,xe)latex -> (pdf,xe)latex
          * 기본 개념과 아이디어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QnA_board&search_keyword=multibib&search_target=comment&document_srl=253244|KTUG 게시판]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QnA_board&search_keyword=biblatex&search_target=comment&document_srl=256637|KTUG 게시판] 한국어 문헌 인용에서 et. al. 등의 처리와 관련된 사항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QnA_board&search_keyword=biblatex&search_target=comment&document_srl=259688 |KTUG 게시판] biber와 bibtex에 대한 설명
  • CP949한글 . . . . 5 matches
         #keywords cp949,kotex,tex,레거시,문자,완성형,윈도우,유니코드,인코딩,한글,xetexko,luatexko,lambda,omega,aleph,lamed,hlatex
         XeTeX과 LuaTeX이 등장하여 유니코드를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한글 표현 문제는 최종적으로 해결을 보게 된다.
         CP949 인코딩된 한글 문자를 라텍으로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XeTeX이나 LuaTeX에서는 CP949 한글도 유니코드 한글처럼 자연스럽게 처리한다.
         === XeTeX ===
          * [xetexko]를 통하여 CP949 한글을 처리할 수 있다.
          \XeTeXinputencoding="korean"
          \XeTeXdefaultencoding="korean"
          * texworks의 기본 문자셋이 UTF-8이기 때문에 magic comment가 없는 CP949 파일을 불러오면 다음 그림과 같이 한글이 "깨져" 보인다.(아래 그림은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92470 질문답변 게시판]에 올라온 글에 첨부된 것이다.)
          * http://www.ktug.org/xe/files/attach/images/5213/470/192/5808d5b3af33a254d40e38f27794dcc9.jpg?width=500
          * texworks 편집창 오른쪽 아래에 UTF-8이라고 적힌 작은 단추가 있습니다. 이것을 눌러 cp949를 선택한 다음, 다시 한번 더 눌러서 목록 맨 위 “선택한 인코딩을 써서 다시 읽기” 를 클릭합니다. 주의할 것은 이러면 팝업창이 뜨는데 여기서 “예”를 선택해야 한다는 겁니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4032#comment_184260 링크]
  • EnablingShellEscape . . . . 5 matches
          * 명령행에 익숙하지 않고 에디터 내에서 컴파일 명령을 부르는 것이 편하다면, "XeLaTeX (shell)"이라는 이름으로 현재의 "XeLaTeX" 조판 명령 설정을 하나 복사하여 여기에 `--shell-escape`를 붙여서 저장한 다음 shell-escape가 필요할 때 이 조판 명령을 쓰도록 한다.
         % arara: xelatex: { shell: yes }
         %$ xelatex -shell-escape $texame
         $ latexmk -xelatex -latexoption='--interaction=nonstopmode -synctex=1 -shell-escape' <texfile>
         $pdflatex = "xelatex --shell-escape --synctex=1 --interaction=nonstopmode";
         $pdflatex = 'xelatex %O %S --shell-escape';
  • KTUGDocSubjIdx . . . . 5 matches
          * 조진환 (2010) [http://wiki.ktug.org/wiki/wiki.php/KTSConference/2010?action=download&value=LectureTwo.pdf Introduction to XeTeX] XeTeX 소개
          * 김도현 (2010) [http://ajt.ktug.org/2010/0401dhkim.pdf XeTeX-ko: XeTeX 엔진을 위한 한국어 조판 매크로]
          * 김도현 (2010) [http://wiki.ktug.org/wiki/wiki.php/KTSConference/2010?action=download&value=KeynoteTwo.pdf XeTeX-ko] [xetex-ko]의 개발 현황과 사용법
          * 김강수 (2009) [http://wiki.ktug.org/wiki/wiki.php/LaTeXWorkshop/2009?action=download&value=WS2009-a.pdf XeLaTeX 문서 작성의 실제] [xetex-ko]를 이용한 한글 문서 작성 방법
          * 김도현 (2009) [http://wiki.ktug.org/wiki/wiki.php/LaTeXWorkshop/2009?action=download&value=ktsworkshop2009fall-dohyunkim.pdf XeTeX에서 ko.TeX의 구현] [xetex-ko]의 구현
          * 김영욱 (2010) [http://faq.ktug.org/faq/gromov?action=download&value=tex_u_ywk_xe.pdf TeX 사용에서 주의할 점] 구두점, 수식함수와 간격, 한글과 이탤릭 문제, 특수 기호 등 소개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QnA_board&document_srl=254059#comment_254161 예제]
  • LaTeXWorkshop/2021 . . . . 5 matches
          * 실습자료: attachment:modernii-exercise-rev3.zip
          * 실습자료: attachment:ohexec.pdf
          * 모범답안: attachment:obexec-1.tex
          * 에드: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5649#comment_256058
          * Progress: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5649#comment_256104
  • TeX 문서 출판 . . . . 5 matches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29569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28110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24663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4363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0032
  • TeXworks . . . . 5 matches
          * 참조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66782 ( by 그로몹 )
          *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컴파일 경로 외에 새로운 컴파일 경로를 추가하고 싶으면 편집-환경설정에서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rara]]를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컴파일 경로를 추가할 수 있다. (참고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7528&mid=KTUG_QnA_board|1]],[[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5473&mid=KTUG_QnA_board|2]])
          윈도우키+R -> regedit 입력 후 확인 -> Computer\HKEY_CLASSES_ROOT\Applications\texworks.exe\shell\open\command -> 오른쪽 창의 default를 더블클릭해서 열고 값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 준다. (TeXLive 설치 경로가 다른 경우 값이 다를 수 있음)
          "C:\usr\texlive\'''20xx'''\bin\win32\texworks.exe" "%1"
  • spix . . . . 5 matches
          * MacTeX 2023에서 테스트 해보니 {{{%$xelatex}}}와 같이 공백없이 작성했는데도 동작한다.
          %$ xelatex -output-directory=$myoutputdir $basename
         %$ xelatex -shell-escape -synctex=1 -output-directory=build $basename
         %$ xelatex -shell-escape -synctex=1 -output-directory=build $basename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45475&mid=KTUG_open_board|Spix 소개]]
  • 라텍문서편집기 . . . . 5 matches
          * 이 경우,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45144&mid=KTUG_QnA_board 바로가기 위치를 바꿔본다].
          * 연결프로그램을 {{{texworks.exe}}}에서 {{{texstudio.exe}}}로 변경한다.
          * 기본 컴파일은 PdfLaTeX이며 이를 XeLaTeX으로 바꾸려면:
          {{{옵션 -> TeXstudio 설정 -> 빌드 -> 기본컴파일러: PdfLaTeX을 XeLaTeX으로 바꿈.}}}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5839 Emacs+MiKTeX 작업환경 (docker)]
          * Version 6부터 xelatex/lualatex을 지원하기 때문에 한글과 같은 유니코드 문자는 이 컴파일 엔진을 선택하면 된다. preamble에 ```\usepackage{kotex}```을 적어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 설치하기MacOSX/BasicTeX . . . . 5 matches
          * 참고: 이 조치를 취해주는 주된 이유는 ''XeLaTeX에서'' ''시스템 폰트를'' '''파일 이름으로''' 참조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을 해두지 않으면 `\setmainfont{NotoSerifCJKkr-Medium.otf}`와 같은 선언이 있는 문서를 xelatex 컴파일할 때 폰트를 발견할 수 없다는 에러를 만날 수 있다. `\setmainfont{Noto Serif CJK KR}`과 같이 "폰트 이름으로" 참조하면 문제가 없지만 문서의 교환 등을 위해서 이 조치를 취해두는 것이 좋다.
          * 참고1: symlink를 걸어주는 이유는 TeX Live의 opentype/truetype 폰트를 ''XeLaTeX에서'' '''폰트 이름으로''' 참조하기 위해서이다. 이것을 해두지 않으면 `\setmainfont{TeX Gyre Termes}`와 같은 문장이 있는 문서를 xelatex 컴파일할 때 폰트를 발견할 수 없다는 에러를 만난다. `\setmainfont{texgyretermes-regular.otf}`와 같이 "파일 이름으로" 선언하면 문제는 없지만 문서의 교환 등을 생각하면 이 조치를 해두는 쪽이 좋다.
         # texliveonfly -c xelatex <filename>.tex
         # tinitex --pdf-engine xelatex <filename>.tex
          * 참고2: 대부분의 ''패키지''는 이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설치가능하다. 그러나 오픈타입 폰트 등은 tlmgr로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 XeLaTeX을 사용한다고 할 적에 다음 폰트 정도는 미리 설치해두면 좋다. {{{
          * doc을 '''항상''' 설치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0785|KTUG 게시판 260785]를 보라.
  • KtugPrivateRepository . . . . 4 matches
          * KTUG 게시물 2014.04.25.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1846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QnA_board&document_srl=252947 우분투에서 hcr-lvt 사용하기]
          * {{{texdoc unfontsxe}}}
          * '''ksruby''' xelatex에서 루비문자 사용
  • LocalKeywords . . . . 4 matches
         tex latex hzguide 메모아 memoir oblivoir 레거시 엔진 TeX "tex 엔진" "TeX 엔진" xelatex lualatex
         oblivoir sample tex xelatex 단행본 샘플 소스 gromov 김영욱
         gromov oblivoir sample tex xelatex 단행본 샘플 소스
         cp949 kotex tex 레거시 문자 완성형 윈도우 유니코드 인코딩 한글 xetexko luatexko lambda omega aleph lamed hlatex
  • TeXLiveFaq . . . . 4 matches
          * 별도 설치 필요없습니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4814&mid=KTUG_open_board 참고.
          * 여기 링크된 두 글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http://www.ktug.org/xe/index.php?mid=blog&page=4&document_srl=159023|윈도우즈에서 basic하게 사는 법]], [[http://www.ktug.org/xe/index.php?mid=blog&page=4&document_srl=159902|Windows에서 basic하게 사는 법 (2)]]. 내용은 TeXLive 2012를 대상으로 쓰여 있지만 현재 버전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혹은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4324&mid=KTUG_open_board|텍라이브 2015 pretest 설치 보고 및 kc on the fly 테스트]]
  • arara . . . . 4 matches
         % arara: xelatex
         % arara: xelatex: { shell: yes, synctex: yes, action: nonstopmode }
         # xelatex --interaction=nonstopmode --shell-escape --synctex=1 foo.tex
         % arara: xelatex: { files: [main.tex], synctex: yes }
  • istgame/samples/pdf . . . . 4 matches
         echo use xelatex: yes >>output.mmd
         ## multimarkdown과 xelatex의 실행
         xelatex -shell-escape output.tex
         xelatex output.tex
  • lshort . . . . 4 matches
          * source: attachment:lshort-kr-4.17-src-xelatex.zip (최신 환경에서 컴파일되도록 수정. xelatex)
          * source: attachment:lshort-kr-3.20-src-xelatex.zip (최신 환경에서 컴파일되도록 수정. xelatex)
  • 매직 코멘트 . . . . 4 matches
          위와 같은 코드를 문서의 [[프리앰블]]에 추가하면 편집기가 컴파일에 사용할 엔진을 LuaLaTeX으로 선택한다. 'LuaLaTeX' 부분을 'pdfLaTeX', 'XeLaTeX' 등으로 바꿔보자. 변화를 바로 알 수 있다.
         %!TEX TS-program = xelatex
          * {{{%!TEX program = xelatex}}}과 동일하다.
          * 주의! : "=" 앞의 스페이스가 없으면, 즉 {{{program=xelatex}}}이면 무시된다.
         % arara: xelatex: {synctex: yes}
  • 색인 만들기 . . . . 4 matches
         큰 문서의 맨 끝에는 보통 찾아보기가 온다. 찾고자 하는 내용이 어디있는지 쉽게 찾아갈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LaTeX은 찾아보기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 문서에서는 \XeLaTeX에서 찾아보기를 만드는 방법만 제공한다.
         # xelatex foo
         # xelatex foo
         만약 차례, 상호참조 등을 사용한다면 xelatex으로 컴파일을 두 번 이상 한다. 끝이다. 이제 찾아보기 항목의 'ㅇ'(이응)항 밑에 '우쭈쭈'와 쪽번호가 보일 것이다. 찾아보기 페이지에서 우쭈쭈 항목 옆에 쪽번호를 누르면 본문에 우쭈쭈가 등장하는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43426&mid=KTUG_QnA_board xdy 파일 변경 Q&A]
  • 한글LaTeX패키지 . . . . 4 matches
          * cjk-ko, kotex-utf, kotex-plain, xetexko, luatexko, kotex-oblivoir, nanumtype1
         || xetexko || utf-8/cp949 || xetex || 2010(?) -- || CTAN || truetype, opentype || 김도현 ||
         || gloss-korean.ldf || utf-8 || xetex/luatex || 2015-- || polyglossia, CTAN || truetype, opentype || 김도현 ||
  • GnuplotTeX . . . . 3 matches
          * http://www.ktug.org/xe/files/attach/images/5213/578/185/6710396af5ab527af1e6802a461442a6.PNG?width=300
         gnuplottex: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09694 출처] {{{
         % arara: xelatex: { shell: yes }
  • LaTeXWorkshop/2013 . . . . 3 matches
          * 게시물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5736 KTUG마당 175736게시물]
          * [http://www.ktug.org/xe/?document_srl=177308 progress]
          * 적용 사례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7930 하늘연]
  • LaTeXWorkshop/2014 . . . . 3 matches
          * 게시물: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187534 문서작성 워크숍 2014 A & B]
          * 게시물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7534]
          * 이기황: [attachment:using_biblatex.pdf 강의자료][attachment:leekh-sld.zip 강의자료 소스] [attachment:leekh-exe.zip 실습자료]
  • LaTeXWorkshop/2015 . . . . 3 matches
          * 게시물: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14578 문서작성 워크숍 2015]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14578#comment_214887 beavim, Dennis, 이슬비, 불량양파, 예노 바르가]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14972 잉여양파]
  • LaTeXWorkshop/2017 . . . . 3 matches
          * 게시물: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27088 문서작성 워크숍 2017]
          * 실습자료: attachment:LaTeXWorkshop/2017/TeXWorkshop_2017_TikZ_in_Physics_Exercise_1.tex
          * likesam : http://www.ktug.org/xe/227088
  • LaTeXWorkshop/2018 . . . . 3 matches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32901&mid=KTUG_open_board 추가 설명]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32898&mid=KTUG_open_board 오늘 정말 감사했습니다.]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32938 hwp2tex 테스트]
  • PSTricks . . . . 3 matches
          1. You cannot run your files with pdftex/pdflatex/luatex/lualatex, use xetex/xelatex instead or the sequence latex->dvips->ps2pdf, or see topic [http://tug.org/PSTricks/main.cgi?file=pdf/pdfoutput pdfoutput]
          * XeTeX
          * pstrikcs로 그림을 그릴 때, xelatex으로 컴파일하면, 참을 수 없을만큼의 시간이 걸린 적이 있었다.
  • TeX Live . . . . 3 matches
          * 포스팅 : 작나님,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24495
          * Progress님,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4324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4814 참고]
  • TextMate . . . . 3 matches
          * 여기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pdflatex, latex, xelatex, texexec
  • beamer . . . . 3 matches
          * xelatex/pdflatex/dvips/ps2pd를 모두 지원한다.
         %!TEX program = xelatex
         \usepackage{xetexko}
  • 리눅스에서의 TeX Live와 ko.TeX의 설치 . . . . 3 matches
         시스템 폰트를 External Location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 XeTeX, LuaTeX을 위한 것이다.
          * nanumtype1, cjk-ko, kotex-utf, kotex-oblivoir, kotex-plain, kotex-utils, xetexko, luatexko
          * collection-langkorean, collection-xetex(xetexko), collection-luatex(luatexko)
  • HelpOnLists . . . . 2 matches
         A numbered list, mixed with bullets:
         A numbered list, mixed with bullets:
  • KC2008plus . . . . 2 matches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2736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8207
  • KTSConference/2013 . . . . 2 matches
          * [http://www.ktug.or.kr/xe/index.php?document_srl=167968 2013 시작에 함께 해 보고서] / semosi
          * [http://www.ktug.or.kr/xe/index.php?document_srl=167983 2013 학술대회에 대하여] / yihoze
  • LaTeXWorkshop/2008Fall . . . . 2 matches
          * XeLaTeX, 자유로운 글꼴 사용 (김강수) 5.00
          * [attachment:Beamer_sample_xetex_b.tex 예제]
          * [attachment:Beamer_sample_xe.lyx 예제]
         === XeLaTeX ===
  • LaTeXWorkshop/2012 . . . . 2 matches
          http://www.ktug.or.kr/xe/index.php?document_srl=162872
          * [http://www.ktug.or.kr/xe/index.php?document_srl=164449 김선중]
  • LaTeXWorkshop/2016 . . . . 2 matches
          * 게시물: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21495 문서작성워크숍 2016]
          * 14:20 실무 적용 TeX [http://www.ktug.org/xe/?mid=KTUG_open_board&category=&search_keyword=%EB%B6%88%EB%9F%89%EC%96%91%ED%8C%8C&search_target=nick_name 문서 작성의 시작] (유종화)
  • LaTeXWorkshop/2019 . . . . 2 matches
          * 확인 참고용 : memoir에 tikzpagenodes를 이용하기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search_keyword=pagenodes&search_target=title_content&document_srl=229299 memtikzpagenodes]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38753&mid=KTUG_open_board 후기]
  • LaTeXWorkshop/SS091216 . . . . 2 matches
          * [http://people.ktug.or.kr/~karnes/KC2009-dev/TnXTeX-unzipme.exe TnXTeX-unzipme.exe]
  • MiKTeX . . . . 2 matches
          1. XeTeX을 위해 "사용자 설치 폰트"에 대한 별도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다. (폰트 설치시 "모든 사용자용으로 설치"를 강제하지 않음)
          * mpm으로 자동 설치되지 않는 폰트의 경우: xetex/luatex 문서를 작성할 때 \setmainfont 등에 폰트의 "파일 이름"을 명시하면 자동 설치가 잘 동작한다. 예를 들면 {{{
          1.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2108|ktug:MiKTeX 인스톨 가이드] MiKTeX을 설치하고 VS Code로 작업 환경을 구축하는 데까지 설명하는 안내 문서.
  • UnFonts . . . . 2 matches
         === pdflatex, xelatex, lualatex ===
         엔진에 따라 pdflatex일 때는 untype1, xelatex이나 lualatex일 때는 트루타입을 쓰도록 하는 방법
  • koTeXLive/2013 . . . . 2 matches
          * 배포 위치: [http://ftp.ktug.org/pub/ktug/koTeXLive/2013/kotexlive2013-latest.exe kotexlive2013-latest.exe]
  • polyglossia . . . . 2 matches
         Polyglossia 패키지의 목적은 두 가지 이상의 언어로 조판하는 것을 돕는 것이다. 이 패키지는 xetex 또는 luatex과 함께 쓰인다. Pdftex 사용자는 이 패키지 대신 babel 패키지를 써야 한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11344&mid=KTUG_open_board
         Polyglossia가 일본어와 중국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이는 gloss-japanese.ldf와 gloss-chinese.ldf가 없음을 의미한다. 대신 XeCJK 패키지를 이용하여 일본어나 중국어를 조판할 수 있다.
  • preparefont . . . . 2 matches
         XeLaTeX, LuaLaTeX 사용 상황에서 시스템에 없는 폰트를 임시로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받아 이용하기 위한 목적의 패키지
          1. 이 파일을 저장하여 xelatex에 {{{--shell-escape}}} 옵션을 주어서 실행한다. {{{
         # xelatex --shell-escape <filename>
  • 관리자님께 . . . . 2 matches
          * 구글에서 tex live 한글 검색하면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84814&mid=KTUG_open_board 가 나옵니다. 그 글 본문의 첫부분에 지금은 2015가 최신 버전임을 알리는 문구를 넣어주시면 어떨까요? 이곳에 자주 오시는 분이야 최근에 2015버전 나온 것을 알겠지만 구글등을 통해 그 페이지로 접속하신 초보자는 2015버전이 나온 것을 모를 수도 있지 않을까요? -- [세벌] [[DateTime(2015-06-23T03:17:49)]]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06093&mid=KTUG_open_board 게시판 글]에 보고되었고 관리자께서 알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 데비안/우분투 계열 리눅스에서 TeX Live 더미 패키지 만들기 . . . . 2 matches
         Provides: texlive-latex-base, asymptote, asymptote-doc, context, dblatex, dvipdfmx, dvipng, feynmf, guile-1.8, lacheck, latex-beamer, latex-xcolor, latex2html, libsigsegv0, lilypond, lilypond-data, lilypond-doc, lmodern, luatex, pgf, preview-latex-style, prosper, ps2eps, tex4ht, tex4ht-common, texlive, texlive-base, texlive-base-bin, texlive-base-bin-doc, texlive-doc-base, texlive-extra-utils, texlive-font-utils, texlive-fonts-recommended, texlive-fonts-recommended-doc, texlive-generic-extra, texlive-generic-recommended, texlive-humanities, texlive-humanities-doc, texlive-lang-cyrillic, texlive-latex-base, texlive-latex-base-doc, texlive-latex-extra, texlive-latex-extra-doc, texlive-latex-recommended, texlive-latex-recommended-doc, texlive-math-extra, texlive-metapost, texlive-metapost-doc, texlive-pictures, texlive-pictures-doc, texlive-pstricks, texlive-pstricks-doc, texlive-xetex, tipa
          * http://www.ktug.org/xe/index.php?mid=blog&page=11
  • 문화부글꼴 . . . . 2 matches
          2. '''문화부글꼴 OTF''': 문체부글꼴을 Adobe사의 Ken Lunde씨가 (개인 용도로?) CID 인코딩의 otf로 변환하였던 것이 있다. 이 otf 폰트는 현재 찾을 수 없다. 이를 KTUG의 Karnes가 2005~6년 경에 Unicode 인코딩으로 변환하고 여기에 CM 폰트에 기초한 글리프 일부를 추가하여 변경한 것이 [http://faq.ktug.org/faq/%B9%AE%C8%AD%BA%CE%B1%DB%B2%C3?action=highlight&value=%B9%AE%C3%BC%BA%CE%B1%DB%B2%C3 |KTUG Faq 문화부글꼴] 페이지에 남아 있는데, 이를 '''문화부글꼴 OTF'''라고 부른다. 이 폰트는 현재의 XeTeX이나 LuaTeX으로 잘 활용할 수 있다.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5567 |KTUG 게시판 "문화부글꼴에 관하여"] 기사
          * XeLaTeX, LuaLaTeX에서 문화부글꼴 OTF를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 kotex-utf (pdflatex), xetexko, luatexko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 설치 . . . . 2 matches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56681 ksminitex안내]]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37649 textonic]]을 이용한 아마도 아주 작은 텍 시스템
  • 설치하기MacOSX/MacTeX . . . . 2 matches
          * [http://wiki.ktug.org/wiki/wiki.php/KtugPrivateRepository?action=show KTUG 사설 저장소]는 mactex2016(texlive2016)부터 지원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19310&mid=KTUG_QnA_board#comment_219319 관련 논의])
         === XeLaTeX 사용을 위한 설정 ===
          * [MacOSX와XeLaTeX]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45475&mid=KTUG_open_board Spix 소개]
  • 학위논문스타일 . . . . 2 matches
          * [http://faq.ktug.org/faq/%C7%D0%C0%A7%B3%ED%B9%AE%BD%BA%C5%B8%C0%CF?action=download&value=Latex_kaist-cls20101129_fixed.zip Latex_kaist-cls20101129_fixed.zip]
  • 훈민정음언해 . . . . 2 matches
          * cf.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55075|KTUG, 정본 훈민정음 언해]
          보여주는 예제 tex 파일이며, 이 파일에 대하여 xelatex을 적용하여 pdf를 얻을 수 있다.
  • G21C 2020 . . . . 1 match
         Marc W. Küster, Office de traduction de l'Union européenne, Luxembourg
  • GithubUsers . . . . 1 match
          * [https://github.com/dohyunkim/xetexko]
  • HelpOnGitInstallation . . . . 1 match
          lib/titleindexer.text.php | 2 +-
  • InstallTLWindows . . . . 1 match
          * 상기 문서의 "MiKTeX 설치", "Perl 설치", "KTUG 사설저장소 패키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일괄 처리하도록 하는 배치 프로그램: [https://mirror.ischo.org/aux/ksminitex/miktex-install.zip miktex-install.exe.zip]
  • KTSConference/2016 . . . . 1 match
         http://www.ktug.org/xe/files/attach/images/1483/000/217/a487cac662f5b20cbb7b5159f4c09802.jpg?width=720
  • KTSConference/2019 . . . . 1 match
          * 발표 2. [http://www.ktug.org/xe/234668|한글 문서를 텍으로: hmltotex], 김환철, 한양대학교, 13:50-14:30
  • KTSConference/2020 . . . . 1 match
          * http://www.ktug.org/xe/239863 , http://conf.ktug.org/2020/ 참조
  • LaTeXPrimerWithTnXTeX . . . . 1 match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6349
  • LaTeXWorkshop/2008Spring . . . . 1 match
          * attachment:boxedpara.tex
  • LaTeXWorkshop/2009 . . . . 1 match
          * 오전: XeTeXko, A New Korean Typesetting Environment
          * XeTeX에서 ko.TeX의 구현: xetexko (김도현) 10.00
          * XeTeXko 및 사용자 매크로 소개
          * XeTeXko의 현단계와 발전 가능성
          * XeTeXko를 이용한 문서작성의 실제 (김강수) 11.00
          * XeTeXko 문서작성의 실습
          * [http://vod.mathnet.or.kr/sub3_1.php?key_s_title=Tables+in+Documents+along+with+XeLaTeX&key_year=x 동영상 링크]
  • LaTeXWorkshop/2023 . . . . 1 match
          * Progress: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document_srl=263750 후기]
  • LinuxInstall2014 . . . . 1 match
          c [ ] small scheme (basic + xetex, metapost, a few languages)
  • LuaLaTeX . . . . 1 match
         LuaLaTeX은 아직 불안정스러우므로, XeLaTeX의 사용을 권한다.
          * 이러한 경우 font의 black list를 만들어야 한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8432 KTUG-178432번게시물]을 참조한다.
  • MinimalWorkingExample . . . . 1 match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90359&mid=blog 게시판 질문을 위한 최소예제(MWE) 만들기]
  • ModernLaTeX . . . . 1 match
          * 2004년, 2007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XeTeX과 LuaTeX이 이전의 텍 엔진(legacy TeX)을 대체하기 시작하였다.
          * 한글 문서는 폰트 문제 때문에 일찍부터 XeTeX을 이용하는 방법이 발달하여, 2014년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텍 엔진이 되어 있다.
          * 요컨대, '''XeLaTeX으로 컴파일하는 것이 현재 기본'''이다.
          * 현재 dvi 출력 포맷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pdfTeX, XeTeX, LuaTeX이 모두 pdf 출력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 단, XeTeX은 사용자가 체감하지는 못하지만 xdv라는 확장 dvi를 먼저 만들고 이를 xdvipdfmx 드라이버를 통하여 pdf로 변환하는 방법이 여전히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 배후에서 일어나고 사용자에게는 마치 pdf가 직접 만들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 XeTeX과 LuaTeX 엔진에서 비로소 트루타입과 오픈타입을 tfm를 통하는 전통적 방식 없이 네이티브하게 조작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XeTeX에 주목하는 주된 이유가 이 폰트 관련된 사항 때문이다.
          * 현재의 주요 엔진인 pdfTeX, XeTeX, LuaTeX은 JPG, PNG, PDF 그림을 잘 처리한다. 이와 더불어 graphicx 패키지가 발전하여 외부 그림을 넣는 일반적인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 XeTeX과 LuaTeX은 유니코드를 직접 처리할 수 있다. 한국어/한글을 XeTeX으로 처리하는 것을 권장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 다국어 처리를 위해서 babel 패키지가 발전하였다. XeTeX에서는 polyglossia 패키지가 babel이 하던 일을 이어받고 있으나 최근 이 패키지의 개발이 정체되면서 xe-babel을 만들려는 노력도 나타나고 있다.
  • MultiMarkdown . . . . 1 match
         use xelatex: yes
  • TeXLive업그레이드(Linux) . . . . 1 match
          * [http://mirror.navercorp.com/CTAN/systems/texlive/tlnet/update-tlmgr-latest.exe]에 접근해서
  • graphicx . . . . 1 match
          * xelatex, lualatex에서는 드라이버 옵션을 생략한다.
          * pdfTeX, XeTeX, LuaTeX 엔진의 경우, eps 그림은 repstopdf라는 유틸리티를 통하여 자동으로 pdf로 변환되어 처리된다.
  • ko.TeX . . . . 1 match
          * [xetex-ko]: XeTeX 엔진에 대응하는 한글 식자 패키지이다.
         \else\ifXeTeX
  • luaotfload/blacklist . . . . 1 match
          * 지금은 문제 없다.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19165#comment_219186 DohyunKim 님의 코멘트]
  • oblivoir . . . . 1 match
          * chapter 옵션 사용시 nameref 패키지의 \nameref{}가 동작하지 않음. \nameref{} 대신 \titleref{}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7911 참조])
  • polyglossia/samples . . . . 1 match
         %!TEX program = xelatex
  • tikz . . . . 1 match
          %\psaxes[ticks=none]{->}(-.5,-.5)(-1,-1)(2.5,3)
  • xparse . . . . 1 match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open_board&order_type=desc&sort_index=regdate&page=3&document_srl=202894 'love' version]
  • 명령창열기 . . . . 1 match
          * 레지스트리를 건드려서 할 수 있는 방법은 [[http://www.fixedbyvonnie.com/2014/08/add-open-powershell-command-context-menu-windows-8/#.VHaZv4usV8E 여기]]를 참조
  • 설치/isoimage . . . . 1 match
          1. 컴파일 방법의 "기본값"을 {{{pdfLaTeX}}}에서 {{{XeLaTeX}}}으로 바꾼다.
          * {{{편집 -> 환경설정 -> 문서처리 -> 기본값}}}에서 {{{XeLaTeX}}}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attachment:12-xelatex.png
         ==== XeLaTeX을 위한 설정 ====
  • 설치하기Linux/usermode . . . . 1 match
          * 한글 관련 패키지를 위해서, texlive-xetex, texlive-luatex, texlive-lang-cjk (일부 시스템에서는 texlive-lang-korean)를 설치하여야 한다.
          * 최신 XeTeX, LuaTeX의 기능이 필요할 때에는 ​["TeX Live 설치 (Linux)"]에 따라 설치한다.
  • 설치하기MacOSX/homebrew . . . . 1 match
          $ eval "$(/usr/libexec/path_helper)"
  • 설치하기Windows . . . . 1 match
          * MikTeX에 대한 인식이 극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 것은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60377 KTUG에 게시물]이 올라온 이후이다.
  • 설치하기Windows/UserFont . . . . 1 match
          * 그러나 관리자 권한이 없거나 다른 이유로 관리자 권한이 아닌 사용자 권한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이를 TeX Live의 XeLaTeX에서 사용가능하게 하려면 다음 조치가 필요하다.
          * LuaLaTeX이나 pdfLaTeX 사용과는 무관하며, XeLaTeX을 위한 것이다.
          *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246627 KTUG: 폰트를 설치했는데 텍이 찾지 못할 때]] 글을 참조한다.
  • 수식작성 . . . . 1 match
          * 수식 작성을 위한 연습문제가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90999|이 링크]]에 있다.
  • 수평선 . . . . 1 match
          : [http://www.ktug.org/xe/index.php?mid=KTUG_QnA_board&comment_srl=243447&document_srl=243417 선굵기, 위치 변경 Q&A]
  • 처음시작하기 . . . . 1 match
         이제 메뉴에서 조판을 선택 후 {{{XeLaTeX}}}을 선택하고 좌측 상단의 초록색 재생 버튼을 눌러서 컴파일을 하면 pdf viewer에서 출력 결과를 볼 수 있다.
         KTUG 질문 게시판에 모르는 내용에 대해 질문을 남기면 대부분의 경우 잘 작성된 질문 순서대로 답변이 달린다. 많은 사람들이 빨리 답을 얻고자 하는 마음에 정리되지 않은 질문을 올리기 일쑤다. 질문을 올리기 전에는 항상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90359|이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 컴파일시간측정 . . . . 1 match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61777]]
  • 패키지목록 . . . . 1 match
          *[xetex-ko]
  • 한국텍학회 . . . . 1 match
          * [http://www.ktug.org/xe/index.php?mid=donation 한국텍학회 회비 납부 및 후원]
  • 함초롬체LVT . . . . 1 match
          * ConTeXt와 함께. http://www.ktug.org/xe/index.php?document_srl=176946
Found 104 matching pages out of 267 total pages

You can also click here to search title.